국내에서 세계최초로 "치매 유발 뇌 노폐물 배출 경로" 찾았다
작성자 정보
- 작성
- 작성일
컨텐츠 정보
- 338 조회
- 목록
본문
원래 사람이 머리를 쓰면 뇌에서 노폐물이 만들어지고
이 노폐물이 뇌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쌓이면 신경세포를 손상하여 치매와 같은 뇌 질환을 일으키는데
지금껏 이 노폐물을 포함한 뇌척수액이 어디로 어떻게 빠져나가는지에 대한 주요 경로를 발견하지 못했었음.
근데 국내 연구진이 이 문제의 경로, 뇌척수액이 뇌 밖으로 빠져나가는 중심 경로를 세계최초로 찾아냄.
뇌척수액은 코 뒤쪽에 있는 비인두 림프관망으로 모이게 되며
목 림프관과 목 림프절로 이어지면서 뇌척수액을 뇌 바깥으로 빼내는 역할을 하는데
이 비인두 림프관망이 뇌척수액 배출 경로의 허브가 된다는 것.
노화에 따라 비인두 림프관망이 변형되어 뇌척수액 배출이 줄어드는 것도 확인했는데,
목 림프관에는 노화에 따른 변형이 없었고 이를 이용해 목 림프관에 있는 근육세포의 수축과 이완을 약물조절로 유도한 결과 펌프처럼 작동하여 뇌척수액을 쉽게 빼낼 수 있음을 확인.
연구팀은 노폐물이 포함된 뇌척수액 배출 조절을 머리가 아닌 목에서 손쉽게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 연구결과의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고, 영장류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뇌척수액 배출 경로를 연구중인데 생쥐와 비슷한 결과를 얻고 있다고 밝힘.
관련자료
-
이전
-
다음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